본문 바로가기
한 가지 알아두기

결혼 준비 총 예상비용 총정리 스드메 포함

by bmw_p.zero 2025. 6. 4.
반응형

★ 스드메 정찰제 도입, 결혼 시장이 바뀐다

결혼 준비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 중 하나가 스드메다. 스드메는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의 줄임말로 웨딩 촬영과 본식 당일에 꼭 필요한 핵심 서비스이다. 하지만 스드메 비용은 업체마다 다르고 조건도 천차만별이라 신혼부부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해 왔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5년부터 스드메 정찰제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스드메 가격을 사전에 정하고 공개하여 소비자가 동일한 조건에서 같은 가격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쉬어가는 time

 

★ 2025년 스드메 평균 비용

패키지 유형 평균 비용 특징
실속형 170만 원~270만 원 기본적인 구성으로 스몰웨딩이나 미니멀 웨딩에 적합
스탠다드형 300만 원~450만 원 다양한 옵션 선택이 가능하며 퀄리티와 가성비의 균형을 맞춘 구성
프리미엄형 450만 원 이상 유명 스튜디오, 디자이너 드레스, 프리미엄 메이크업 서비스 포함

 

★ 스드메 비용 왜 불투명했을까?

기존에는 기본 비용 외에도 드레스 피팅비, 메이크업 얼리스타트 비용, 헬퍼비, 사진 원본 구입비 등 다양한 선택 옵션이 추가되어 실제 지출이 예상보다 훨씬 커지는 일이 많았다. 정부 조사에 따르면 스드메 패키지 평균 비용은 520만 원(기본금 346만 원 + 추가금 174만 원)이며 선택 옵션 없이 결혼 준비가 곤란한 경우도 전체의 67.7%에 달했다.

이뿐만 아니라 웨딩 플래너 선물, 스태프 간식 준비 등 관행적인 비용도 별도로 요구되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계속 증가했다.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웨딩 관련 소비자 불만 건수는 2021년 1,038건에서 2023년 1,505건으로 증가했다.

★ 스드메 정찰제 어떻게 달라졌을까?

정부는 2024년 결혼준비대행업 표준계약서를 마련해 계약서에 기본 품목과 선택 품목을 명확히 구분하여 표기하도록 했다.

드레스 피팅비, 헬퍼비, 사진 원본 구입비 등이 모두 명시되며 계약 해제 시 위약금 기준도 투명하게 설명하도록 의무화했다.

또한 2025년 1월부터는 한국소비자원 참가격 사이트 (https://www.price.go.kr/tprice/portal/main/main.do)에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의 가격 정보가 공개되기 시작했다.

이 가격은 매월 조사되고 두 달마다 갱신되어 소비자가 실제 가격을 쉽게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 스드메 정찰제가 바꾸는 웨딩 시장

스드메 정찰제는 소비자에게 가격 정보의 투명성을 제공함으로써 합리적인 소비를 돕는다. 불필요한 분쟁을 줄이고 예산 낭비를 방지하며 사업자에 대한 신뢰도 향상에 기여한다. 실제로 일부 웨딩 업체는 상담 부담이 줄고 고객과의 신뢰가 높아졌다는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 제도는 업체 간 가격 경쟁을 유도하여 전체 웨딩 산업의 서비스 품질 향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소비자가 계약서에 없는 항목은 거절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갖는 것도 중요하다.

 

결혼 준비에 평균 비용은 얼마 정도일까? 평균적으로 알아보자

 

▶ 신혼집 마련 비용 (전월세 기준) 

구분 평균 비용
전국 평균 약 2억 8,000만 원
수도권 평균 약 2억 8,600만 원
서울 평균 약 3억 5,000만 원

 

결혼식 및 관련 비용

항목 평균 비용
웨딩홀 대관+식대 1,600만~3,000만 원
스드메(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약 300만 원
예물, 예복, 한복 400만~500만 원
웨딩 반지 500만~1,300만 원
기타 (청첩장, 답례품 등) 100만~300만 원

 

혼수 비용

항목 평균 비용
가전·가구·침구 등 약 1,573만 원


신혼여행 비용

여행지 유형 평균 비용
국내·근거리 해외 약 300만 원
장거리 해외 (유럽·몰디브 등) 약 500만 원 이상

 

총합 요약

항목 최소 최대
신혼집 2억 8,000만 원 3억 5,000만 원
결혼식+혼수+여행 4,800만 원 8,000만 원
총합계 약 3억 2,800만 원 약 4억 3,000만 원

 

 

★ 결론

결혼은 인생의 중요한 결정이지만 더 이상 한 번뿐이니까 라는 말로 불합리한 소비를 강요받아서는 또 선택해서는 안된다.

스드메 정찰제는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결혼 준비 시장을 건강하게 만드는 첫걸음이다.

처음이자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모든 걸 남 보여주기 식이나 허세로 해서는 안되고 본인들 연봉에 맞게 예산을 계획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게 제일 중요하다. 남들보다 집이 낡거나 좁다고 또한 신혼여행지로 비교하는 것은 정말 어리석은 짓이라고 생각하고 개개인은 물론 정부는 꾸준한 모니터링을 통해 가격 담합이나 서비스 질 저하를 방지하고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웨딩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신혼 스드메

 

신혼 스드메